"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테스트 1편"
싸이코패스, 소시오패스, 성격파탄, 품행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특징, 종류, 증상, 원인, 치료 방법, 자가 진단, 통계,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모든 것을 알아보도록 해요.

우리는 주위에서 알게 모르게 정말 이상한 사람들을 많이 만나며 또한 동질화되기도 하고 그들을 동정하기도 하며 나아가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자학하기에 이릅니다. 하지만 단호하게 말씀드릴게요.
"아니오. 당신에게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이 나쁜 행동을 일삼는다는 것을 때론 알면서도 통제하기 힘들 뿐입니다."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특징은 뭘까요?"
이제는 좀 더 자유로워진 세상 속에서 비밀시되어 오던 음지의 정체를 속속들이 알 수 있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정말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일삼던 나의 직장 상사나 직장 동료 등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만날 수밖에 없게 되는데요. 일종의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우리 주위에 여전히 많고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도 인정해야 할 때가 된 것 같아요.
특히나 우리가 요즘 흔히 듣게 되는 "반사회성 성격장애"라는 말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요. 사실 정확한 명칭은 "반사회성 인격장애"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해요. 그렇다면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의 뚜렷한 증상을 나타내는 특징은 무엇일까요?
이 증상이 있다면 아주 뚜렷한 증상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요. 그것은 바로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듣기만 해도 기분 나쁘고 소름이 돋는데요, 이러한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특징은 주로 15세 이전에 시작되어서 성인기까지도 지속된다고 해요.
특히나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은 "사회적 규칙을 잘 따르지 않고, 불법적인 행동이나 범죄행위를 지속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범죄자가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졌다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졌다고 해서 모두 범죄자가 된다는 것도 아니고요.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원인은 뭘까요?"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원인은 크게 생물학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위험요인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어요. 생물학적인 요인과 사회환경적 위험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이런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지요.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생물학적 요인이 뭐예요?"
생물학적 요인에는 유전적인 경향과 신경생물학적 이상 요인 등이 있는데요.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진 입양아의 경우, 입양 가정 친척들보다는 친부 모계의 친척들이 범죄율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어요. 즉, 친부모나 친부모께 친척들의 범죄율이 높을수록 유전적으로 그 자식들도 범죄 확률이 올라간다는 것이지요.
또한 신경생물학적 요인으로는 공격성이나 충동성, 적개심 등과 관련된 대뇌 신경 조절 영역의 신경생물학적 이상이 관여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고 해요. 즉, 반사회적인 행동이라던가 정신병 질적 양상이 뇌파의 이상소견을 비롯해 낮은 각성 수준이라던가, 전두엽 및 변연계와 관련한 구조적, 기능적인 이상 등 다양한 뇌 영역에서의 신경생물학적 이상과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계속해서 보고 되고 있어요.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사회환경적 위험요인"
사회환경적 위험요인으로는 부모의 일관성 없고 부적절한 양육 태도 등을 말하는데요, 부모의 양육 태만과 또래 집단의 영향 등이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의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요.
쌍생아 연구와 입양아 연구는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의 발생이 유전적인 요인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 연구 중 하나인데요. 대부분의 유전 연구는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그 자체보다는 반사회적 행동이나 범죄 행위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해요.
쌍생아가 같은 환경에서 함께 자랐을 때 쌍둥이 둘 다 범죄자가 되거나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확률이 이란성이나 일란성 쌍둥이보다 훨씬 높다고 보고가 되었다는 거예요. 이러한 결과는 유전적 요인들이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말해주죠.
또한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학대받고 자랐다거나 애정 결핍과 같은 부적절한 양육 환경에서 자랐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양육자로부터 바람직한 삶의 태도나 행동 방식을 배우지 못하고 오히려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 등을 따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실제로도 부모가 범죄 행위로 처벌을 받거나 만성 실직 상태에 있었던 가정의 경우에는 자녀 또한 인격장애나 반사회적인 행동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요.
그렇지만 정서적으로 독립성이 높은 자녀의 경우에는 부모의 반사회적 행동으로 인한 범죄경력과 자녀의 반사회적 행동 특성 사이에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어요. 즉, 자녀의 특성이 양육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특히나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의 경우 청소년기에 학교 환경이라던가 또래 집단의 비행 행동 형성 및 유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요. 그 나이에는 또래 집단을 통해서 범죄를 모방하거나 관찰하고 친구와의 관계에서 비행 행동을 서로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사회통제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교에서 오히려 비행문화를 접촉할 기회가 생겨버리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는 학습 성과 중심의 학교 환경이 학생을 간주하거나, 금지하고, 사회적 유대관계를 결여시키는 등의 비행 행동을 오히려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도 치료 방법이 있긴 할까요?"
너무나 안타깝게도 반사회성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반사회성 성격 경향"은 일반적인 정신의학적 또는 심리적 개입 등으로는 치료되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요.
왜냐하면 이러한 환자들의 경우에는 치료하는 상황에서도 계속되는 거짓말과 행동을 하며 치료자를 위협하기도 하고 치료 상황을 악의적으로 이용하려고 하기까지 하므로 사실상 협력적인 환자래 치료자로서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해요. 안타깝고도 무서운 일이네요. 그러니 사전에 조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반사회적 인격장애 테스트2(특징, 종류, 증상, 원인, 치료방법, 자가진단, 정신병, 통계, 반사회성
"반사회적 인격장애(반사회성 성격장애) 테스트 2편" 반사회적 인격장애 또는 반사회성 성격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등으로 일컬어지는 것들의 정확한 명칭은 "반사회성 인격장애"입니다. 반사
richartist-health.tistory.com
댓글